본문 바로가기

코딩

(88)
제어문 - 조건문 조건문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문이다! if문 if문의 형식은 if 조건: 실행할 코드 인데, 실행할 코드 앞에 들여쓰기를 잘해야 한다는 것을 주의하자!! else문 if 조건1: 실행할 코드 elif 조건2: 실행할 코드 else: 실행할 코드 if와 elif조건들이 모두 거짓일 때 else에서 실행된다!! else는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그 자체로는 어떤 조건을 갖지 않는다는 것!! elif문 if 조건1: 실행할 코드 elif 조건2: 실행할 코드 elif 조건3: 실행할 코드 else: 실행할 코드 여기서 문제 1,2,3을 풀어보았다!!! 문제1. - 아래와 같은 로그인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 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apple -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1111 - 결..
파이썬 연산자 산술연산자 기본적으로 +, -, *, /, //, %, **이 있는데! /는 몫이 값인데 실수 연산을 한다! //는 마찬가지로 몫을 값으로 하는데 정수 연산.(소수점 뒤로 다 버림처리) %는 나머지가 값이 나오고, **은 제곱 곱이다. 비교연산자 비교연산자는 주로 두 값을 비교하는데, 결과는 불리언 값으로 나온다.(True or False) >, =, a=1 and b=1일때 1, 그렇지 않으면 0 print(a | b) # 61, 즉 111101 -> a=1 or b=1일때 1, 그렇지 않으면 0 print(a ^ b) # 49, 즉 110001 -> a=1 , b=0 이거나, a=0, b=1 일때 1 (둘 중 하나만 참일때 1) print(~a) # 61, 이 결과는 2의 보수 방식 때문 print(..
컬렉션 타입 - 딕셔너리 딕셔너리 : 키-값(key-value) 쌍을 저장하는 변경가능한!!(mutable) 컬렉션, '{키: 값}' 이러한 형식으로 이루어져있다!!! 여기서, 키는 중복이 되지 않고, 값은 중복이 가능하다!! 는 점을 유의해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키 값은 어떠한 자료형이 들어가도 상관이 없는데~ 그 이유는 키 부분에 set이 들어가있기 때문! 또한, dict1 = {1: 'flower'} # 추가 print(dict1) dict1[100] = 'fruit' # 추가 print(dict1) dict1[50] = 'food' # 추가 print(dict1) dict1[100] = 'fish' # 수정 print(dict1) del dict[100] # 삭제 print(dict1) {1: 'flower'} {1:..
컬렉션 타입 - 세트 세트(set) : 중복되지 않는 항목들의 컬렉션 을 말하는데, 일단 첫째! set는 {}(중괄호)를 써서 나타낸다. 중괄호에 데이터를 써서 나타내는데, 만약 중괄호안에 데이터가 없을 시엔 dict(딕셔너리) 형이 되므로 참고!!!! set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역시, 1. {}를 써서 나타내는 방법, 2. set()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두가지가 있다! set는 처음부터 '중복되지 않는 항목들의' 컬렉션 이라 하였는데, 만약 set1 = {2, 4, 5, 6, 3, 2, 5} 이라면, print(set1)시에 결과값은 {2, 4, 5, 6, 3}이 나온다. 그렇기에 중복된 값이 있다면 set를 쓸 때, 빼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제 set를 쓸 때 사용할 수 있는 함수를 알아보자!! -..
파이썬 컬렉션 타입, 튜플 리스트와 튜플의 차이점을 잠시 살펴보자면, 리스트는 []로 감싸져 요솟값을 바꿀 수 있지만, 튜플은 ()로, 요솟값을 바꿀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튜플은 요소가 1개일 경우에 끝에 컴마를 붙여 표현한다. ex) tuple1 = (1, ) 튜플의 표현 방식에는 그저 소괄호를 붙이는 방식과 ex) tuple2 = (1, 2, 3, 4, 5) tuple함수를 써서 나타내는 방식, ex) tuple3 = tuple([1, 2, 3, 4, 5]) 그냥 대입하는 방식(값 할당) ex) tuple4 = 1, 2, 3, 4, 5 이 있다! tuple5 = ('candy', 'icecream', ('🌼', '🌷'))에서, 그냥 tuple5[0] = 'rice'라고 바꿀 순 없다. >> 왜냐, 튜플은 요솟값을 바꿀 수 ..
파이썬 컬렉션 타입, 리스트 컬렉션 타입이란? : 여러개의 자료구조를 하나의 단위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 구조, list, tuple, set, dict 등이 대표적인 컬렉션 타입에 속한다. 리스트(list) 그렇다면 list는 무엇일까? list는 여러 값들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고 관리할수 있게 해주는 순차적인 자료 구조이다. 리스트를 표현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는데, 1. 대괄호를 이용하는 방법, ex) list1 = [ 'a', 1, 2.15, 'happy'] * 어떤 자료형이든 리스트 안에 들어갈 수 있다. 2. list함수를 써서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ex) list2 = list([2, 4, 5, 8, 9, 10]) - list함수는 주로 다른 자료구조 형태를 list형태로 바꿀 때 많이 쓰인다. list3..
문자열 다루기 1. 문자열이란? 파이썬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다루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데이터 타입, 작은 따옴표(')나 큰따옴표("), 세 개의 따옴표(''',''')로 둘러쌓인 텍스트로 표현된다. str1 = '오늘도 즐거운 파이썬 수업' print(str1) str2 = "오늘도 즐거운 파이썬 수업" print(str2) str3 = '''김사과: 오늘 날씨 정말 좋군요 그렇죠?''' print(str3) 파이썬의 문자열은 유니코드 문자의 시퀀스로 구성되며, 문자열 값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해당 값은 불변(immutable)한 특성을 가진다. 파이썬은 문자열 리터럴의 공유 문자열 최적화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메모리 효율적으로 다루도록 설계되었다. - 문자열 리터럴과 메모리 할당 : 문자열 리터럴은 메모리에..
파이썬의 출력 1. print 함수 print() 함수는 파이썬의 기본 출력 함수, 터미널이나 콘솔 창에 텍스트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print('안녕하세요 뽀삐뽀') print("안녕하세요 뽀삐뽀") print(100) print('100') print(10, 20, 30, 40) print('안녕하세요', '뽀삐뽀') 결과) 안녕하세요 뽀삐뽀 안녕하세요 뽀삐뽀 100 100 10 20 30 40 안녕하세요 뽀삐뽀 print('안녕하세요', '뽀삐뽀', sep='❤') print('안녕하세요', '뽀삐뽀', end='') print('Hello') print('Python') print('Hello', end='🥰') print('Python') 결과) 안녕하세요❤뽀삐뽀 안녕하세요 뽀삐뽀Hello Py..